구분
|
사례 개념화 요소
|
내 용
|
내담자의 현재 문제
및 관련 증상
|
1. 지금
상담에 오게 된 계기
|
바로
지금 상담에 오게 된 이유, 내방의 원인이 되는 사건 또는 문제
|
2. 내담자의
구체적
호소
|
내담자가
호소하는 제반 문제, 호소
증상
|
3. 내담자의
증상
|
신체적, 행동적, 심리적
및 기타 증상, 현재
문제의 특징 등
|
4. 내담자의
핵심문제 및 핵심정서
|
문제의
핵심 역동, 내담자의
핵심문제와 관련된 핵심 감정
|
5. 객관적
정보
|
지능검사
포함 심리검사 결과 및 진단, 학업 또는 직업과 관련된 사항
|
문제와 관련된
역사적 배경
|
6. 내담자의
발달적 역사
|
가정환경, 가족
역사 등 내담자의 문제와 관련된 발달 및 역사적 배경
|
7. 문제의
기원 및 진행 상황
|
내담자의
문제/증상
시작 시점, 문제의
원인
사건과 당시 상황, 문제
지속 역사, 심리적
외상, 문제와
관련된 최근
변화
상황 등
|
8. 과거 문제력 및
당시 환경 상황
|
문제와
관련된 과거 역사 중 가족 역사 및 환경, 문제의 지속기간 등
|
문제와 관련된
내담자의 개인적 요인
|
9. 내담자의
자아개념
|
각
측면에서 내담자의 정체성, 자기 상, 자존감, 자기 효능감, 자아개념
등
|
10. 내담자의
통찰 내용과 수준
|
내담자가
문제와 자신, 자신을
둘러싼 인적, 물적, 환경적
측면에 대해 가지는 통찰의 정도와 그 내용
|
11. 인지적
스타일 및 특징
|
인지
내용 및 스타일, 인지적
능력 등
|
12. 정서적
스타일 및 특징
|
생활에서
정서 순환의 사이클, 표현하는
정서의 폭, 정서의
적절성, 호소문제에
대한 내담자의 정서(분노, 공포, 두려움
등)
|
13. 신체․생리․행동적
특징
|
행동
패턴, 섭식
패턴, 성적
기능, 수면 패턴
|
14. 내담자의
바람(wants)
|
상담
및 변화에 대한 동기 및 의지, 원하는 해결 방향 및 해결 양상 등
|
문제 관련된 내담자의
외적(상황적) 요인
|
15. 문제와
관련된 내담자의
현재 생활
여건
|
거주
환경, 여가
활동, 재정, 직업, 결혼
상황 등
|
16. 문제를
지속시키는 상황적 요인
|
문제를
지속, 촉발, 강화시키는
요인과 그
|
내담자의
대인관계특성
|
17. 내담자의
대인관계 양상
|
가족, 친구
등 타인과의 관계, 관계의
지속성 여부, 대인관계
패턴, 대인관계
특성 및 양상에 대한 가치 중립적인 기술
|
18. 대인관계
문제 영역
|
문제
관련 대인관계 영역, 현재
문제가 되는 대인관계 영역 혹은 대상 등
|
내담자의 자원 및
취약성
|
19. 긍정적
상황과 강점
|
외모, 호감도, 약속 준수, 성공
경험, 지지적
경험과 관계 망, 스트레스
인내력과 대처 능력, 의사소통
능력, 정서
표현 능력 등
|
20. 내담자의
대처 전략
|
내담자가
문제 및 그 해결에 대해 갖는 대처 전략 혹은 대처 계획
|
21. 부정적
상황과 약점
|
고민, 이슈, 문제, 증상, 대인관계
기술 또는 문제해결 기술 결핍, 향상의 장애 요소 등
|
문제와 내담자에
대한 종합적 이해
|
22. 핵심
문제에 대한 이론적 설명
|
상담자의
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문제 전체, 문제의 원인과 과정 등에 대한 종합적 설명
|
23. 내담자 관련
요인의
종합적 이해와 평가
|
문제를
촉발, 강화시키는
요인 및 조건, 내담자에 대한
종합적 이해, 내담자 및 내담자
문제에 대한 진단 혹은 평가
|
상담 목표
및 계획
|
24. 최종
목표(혹은
장기 목표)
|
상담의
종결 시점 또는 그 이후를 시점으로 하는 목표
|
25. 과정
목표(혹은
단기 목표)
|
상담
중에 도달하게 될 목표, 회기 목표, 중간
목표 등
|
26. 상담
전략
|
상담
목표를 얻기 위한 탐색 방향 설정, 초기 상담계획, 상담
유형, 상담
빈도와 기간, 투약, 집단상담
등 병행할 만한 방법 포함
|
27. 상담
목표 달성의 장애로
예상되는 요소
|
상담
목표 달성에 장애 혹은 장벽으로 상담자가 예상하는 요소 또는 요인
|